지난해 코로나19 감염증이 확산되며 태국에서는 판매자와 소비자간 상호 접촉 없이 안전한 판매채널인 자판기 시장이 성장했다. 병원, 사무실 건물, 쇼핑몰, 보도 및 주유소 등 자판기 설치는 어디든 가능해 입지 특성을 잘 고려해 상품을 구성하면 보다 쉽게 구매로 연결할 수 있다. 편리한 자판기 식품 소비를 선호하며 품목 또한 인스턴트라면, 커피, 탄산음료, 과일주스 외에도 아이스크림 등 냉동식품도 추가됐다. 연간 30억 바트(1000억 원)로 평가받는 태국 자판기 시장가치 태국 자판기 운영업체인 '사하 그룹 썬 108(Saha Group Sun 108)'은 “팬데믹이 자판기사업 성장의 유일한 원동력은 아니지만 구매자가 전자 지불방식으로 상품을 구매 할 수 있는 것이 오히려 큰 성장요인이었다”라고 말했다. 또한 “최근 태국정부의 경제 부양책은 디지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한 지불방식을 지원하여 소비자가 디지털기기에 친숙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다”라 덧붙였다. 썬 108은 전년 대비 2,888대 추가한 2020년, 14,000개의 자판기를 확대해 운영했다. 전체의 80%는 산업 공장단지에 운영 중이며 나머지는 병원, 학교, 거주 지역 및 소매단지에 설치되어 있다.
한류콘텐츠, SNS의 영향으로 케이푸드는 일본 젊은 층 사이에서 가장 핫한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치킨, 닭갈비, 핫도그뿐만 아니라 지난해 코로나19 확산으로 홈카페 수요가 높아지며 달고나 커피가 큰 인기를 누렸다. 올해에는 뚱카롱, 크로플 등 디저트와 함께 간장새우, 치즈에 찍어 먹는 새우롤삼겹살 등이 케이푸드의 인기를 이어갈 유망트렌드로 꼽힌다. 일본으로 건너간 한국 디저트 크로플, 뚱카롱 와플 기계 하나만 있으면 만능 디저트를 만들 수 있는 문화가 유행하며 가장 반응이 좋았던 것이 ‘크로플(크로와상+와플)’이었다. SNS를 타고 일본으로 전해진 크로플은 미디어를 거쳐 확대 재생산되며, 도심의 카페에서도 메뉴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도쿄의 한국 디저트전문점 호이차(HOICHA)에서는 작년 10월부터 크로플 판매를 시작했다. 도입 초반에는 하루에 한 두 개 정도밖에 팔리지 않았지만 SNS로 퍼져나가며 수 백 개 이상이 금세 판매될 정도로 찾는 고객들이 많아졌다. K-마카롱이라 불리는 ‘뚱카롱’은 달콤한 디저트를 좋아하는 일본 10대~20대 여성을 중심으로 인기몰이 중이다. 일반 마카롱에 비해 크림의 양이 두 배 가량 많이 들어가 두툼한 마카롱으로 일본에서는
세계적으로 채식 식습관을 가지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는 추세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유럽에서 비건, 락토, 플렉시테리안 등 채식이 중요한 생활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의 자료에 의하면 2020년 기준, 채식주의자와 비건은 여전히 소수이나(국가별 4~10%), 육류 섭취를 줄이고 채식 위주의 식습관을 갖는 플렉시테리언안(Flexitarian)은 유럽 주요 국가별 약 28~48%에 달한다. 건강뿐만 아니라 동물복지, 환경문제 등 윤리적인 관점에서 육류보다 야채 위주 섭취를 지향한다. 특히 코로나19이 식품 안전에 대해 민감해지며 채식 트렌드가 더욱 강화됐다. 현재 유럽 식품기업들은 앞 다투어 채식 식품군을 늘리고 있다. 남인도식 고구마 카레 등 이국적인 채식 조리식품 등장 영국에서는 매해 1월 ‘비거뉴어리(Veganuary)’ 캠페인이 펼쳐진다. 2014년 설립된 비영리단체 비거뉴어리에서 주최하는 캠페인으로 1월 한 달간 채식 소비를 장려한다. 영국의 식품전문지 더그로서(The Grocer)는 올해 참가자가 지난해 대비 46% 증가한 약 58만 명이 참가했다고 전했다. 채식 상품으로는 식물성 고기로 만든 버거, 베이컨, 매운 치킨,
식품과 기술을 결합한 푸드테크(FoodTech) 산업이 전 세계에서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환경보호, 동물복지 문제가 주목받으며 식물성 고기, 세포배양육, 곤충식 등 대체육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중이다. 정부 차원에서 장기적인 미션을 세우고 투자를 하는 한편 곤충 음료수, 콩 고기 등 다양한 상품들이 시중에 나와 있다. 곤충 자판기부터 콩고기까지 빠르게 성장 중인 日 대체육 시장 유통대기업 이온은 식물에서 유래한 식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파스타 소스, 면 등을 개발해 작년 10월부터 출시를 시작했다. 자체브랜드(PB) ‘베지티부’를 런칭하고 일본 전역의 약 2000점포에서 판매가 이뤄졌다. 출시한 식물성 식품은 밀가루 대신 현미와 병아리 콩을 사용한 파스타를 포함해 총 9종으로 환경, 식품 안전에 민감한 20~30대 고객층을 대상으로 한다. 콩으로 만든 햄버거, 두유 치즈와 푸딩, 요구르트 등 제품에 대한 반응이 좋아 앞으로도 시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지난 3월에는 신제품으로 콩을 이용한 식물성 다진고기 등 3종을 새롭게 선보였다. 콩 다진고기의 경우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만두소로 사용하거나 햄버거 패티를 만드는 등 기호에 따라 조리가 가능
코로나 이후 사회적으로 이동이 제한되며 로컬리즘(지역주의) 소비를 지향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지역 농산물 중심으로 식생활을 하는 로컬보어(Lovalvore) 소비자를 위한 푸드마켓이 등장했다. 오사카를 대표하는 백화점인 한큐 우메다본점 지하 2층에 ‘커뮤니티 푸드마켓’이 지난 3월 31일 문을 열었다. 약 300㎡(90평) 규모의 매장에는 총 7개의 브랜드가 입점해 있다. 이곳에서는 지역의 제작자가 매장에 나와 직접 소비자를 응대하며 상품을 소개해준다. 크래프트 밀크 숍(CRAFT MILK SHOP), 쿄라쿠세이안쇼(京らく製あん所), 후라베도(フラベド) 등 신규 브랜드가 ‘커뮤니티 푸드마켓’에 입점해 로컬보어 소비자를 만난다. 전국 소규모 목장의 우유 맛볼 수 있는 크래프트 밀크 숍 첫 번째로 소개하는 곳은 일반 유통매장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별한 우유를 취급하는 브랜드다. 크래프트 밀크 숍은 일본 전국에 흩어진 소규모 목장에서 생산한 최고급 우유와 가공품을 다루는 전문점이다. 목장마다 젖소에게 주는 사료, 키우는 환경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우유의 맛, 향이 모두 다르다. 매장에는 상시 5~8 종류의 우유가 들어온다. 계절에 따라 미묘하게
홍콩에서 코로나19로 인해 글로벌트렌드로 떠오른 식물성 기반 식품을 만드는 기업들이 두각을 보이고 있다. 세계적으로 육가공 공장의 가동이 멈추고, 동물 복지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채식 과련 식품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했다. 또한, 면역력, 건강 나아가서는 지속 가능한 생태계 조성을 위한 가치소비가 트렌드로 떠오르며 ‘비건’을 선언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홍콩 최초 비건식료품 유통 매장 ‘그린커먼’ ‘그린커먼(Green Common)’은 지속 가능한 단백질 공급원을 만들고자 수십만 개의 식물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만들어 사용한다. 유기농으로 재배한 콜레스테롤이 없고 포화지방이 적은 식물을 사용해 육가공품을 대체한다. 올해 2월에는 비건 케이크 3종을 새롭게 공개했다. 유제품 없이 퀴노아, 강황, 오트밀을 섞은 호박케이크, 국화싹을 넣은 복숭아 밤 케이크, 그리고 표고버섯 등 식물성 원료를 사용한 비건 소스를 곁들인 퀴노아 순무케이크다. 모든 제품이 식물성 원료와 슈퍼푸드로 만들어졌으며 인공감미료, 색소 등이 전혀 들어 가지 않았다. 디저트뿐만 아니라 100% 천연재료를 사용해 채식주의자를 위해 만든 스파클링 음료, 정제 성탈과 유제품, 글루텐이 함유되지 않는
지난해 코로나의 영향으로 중국 유제품 시장에도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세계적 식음료 전문매체 푸드베브(FoodBev)에 따르면 2021년에는 ▲유제품 및 식물성혁명, ▲건강 및 면역 등이 새로운 시장트렌드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유제품에도 식물성 성분을 혼합하는 시도가 늘고 있다. Innova의 연구 조사 데이터에 의하면 36%의 소비자는 식품에 식물성과 동물성이 혼합된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2%는 동물성 성분으로만 제조된 제품, 23%는 식품성 성분으로만 제조된 제품을 선호했다. 코로나 이후 식품 성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며 식물 기반 제품의 수요가 더욱 올라가는 흐름이다. 혼합 제품은 이러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간단한 방법으로, 유제품과 비 유제품을 혼합한 건강한 제품이 새로운 트렌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Silk의 두유 제품은 Non-GMO 대두로 만든 식물성 우유로 콩을 갈아서 물, 설탕, 소금 4가지 성분만으로 순수한 맛을 내는 제품이다. 색소,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콜레스테롤 0, 저당의 건강 우유다. 이외에도 Yili의 고단백이며 무성탕인 식물성 우유 등 다양한 제품이 시중에 나와 있다. 식물성 우유 시장은 2
러시아의 밀키트 시장이 코로나 이후 급속대로 규모를 키우며 시장을 차지하려는 업계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러시아에서 밀키트의 최초 수요층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소비자층이었지만, 젊은 회사원 등으로 넓어졌다. 밀키트는 조리 방법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된다. 간편하게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요리가 되는 밀 키트와 레시피, 가공된 식자재를 제공하는 푸드 키트가 있다. 2020년에는 밀 키트와 푸드 키트 배달 시장이 53% 성장해 110억 루블(1,700억 원)을 넘어섰다, 그중 푸드키트는 2배 이상 규모가 증가한 27억 루블(417억 원)을 달성했다. 2020년 상반기 '그로우 푸드(Grow Food)'사를 제치고 업계 1위를 차지한 '퍼포먼스 그룹(Performance Group)'사는 밀 키트 시장에서도 선두 자리를 지켰다. 작년 매출은 전년대비 105% 증가해 32억 루블(494억 원)을 기록했다. 푸드키트 부문에서는 2년 연속 '쉐프마켓(ChefMarket)'사가 1위를 유지하고 있다. 2020년에 12억 루블(185억 원)을 기록하며 90% 이상 매출 증가세를 보였다. 밀 키트 시장의 65% 이상을 퍼포먼스 그룹
중국에서 냉동식품을 소비하는 연령층이 낮아지며 이제 맞춰 식품업계는 젊은 감각의 트렌디한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중국에서는 보여지는 것을 중시하는 MZ세대를 위해 알록달록 색을 입힌 샤오롱바오가 출시됐으며, 패키지도 디자인을 강화해 화려함으로 승부를 본다. SNS가 삶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지우링허우(90后, 90년 이후 출생)세대는 음식을 맛보기 전 이미지로 소비하는데 익숙하다. 맛이 뛰어나도 시각적으로 어필하는 점이 없다면 구매로 이어지기 쉽지 않다. 인스타그램에서 사진을 찍어 올릴 수 있는지 여부는 그들에게 있어서 식품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요소다. 중국의 전통 만두 제조업체인 완차이페리(湾仔码头)는 알록달록한 연두색, 노랑, 오렌지색 샤오롱바오(小笼包) 제품을 발매했다. 반죽에 당근즙, 호박즙 등 야채즙을 추가하여 여러 빛깔을 내면서 건강한 식품이라는 이미지를 동시에 전달한다. 중국 냉동식품 선두기업인 산췐(三全)은 젊은 층이 좋아하는 길거리 음식 중 하나인 쇼좌빙(手抓饼 : 중국식 토스트)과 가정음식 스프링롤(春卷)을 냉동제품으로 가공해 인기를 끌었다. 또한, 유아를 대상으로 작은 크기의 어린이 훈툰(馄饨:중국식 만두국
코로나19 이후 식품외식 시장에서 밀키트(Meal Kit), HMR의 가장 두드러진 성장을 보였다. 이는 필린핀 외식 시장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베트남 대표 쌀국수 체인점인 ‘포24(Pho24)’가 매장에서 판매하던 쌀국수 메뉴를 밀키트로 출시했다. 필리핀서 판매하고 있는 쌀국수 밀키트는 매장 내 픽업 혹은 배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배송 주문을 받고 있으며, 현재 필리핀의 수도인 마닐라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판매되고 있는 중이다. 포24(Pho24)의 밀키트 쌀굿수 가격은 540페소(약 12,000원)으로 2인분 구성이다. 100% 프리미엄 소고기를 고명으로 올렸으며, 우사골과 허브, 24가지 향신료의 우려낸 육수로 정통 베트남 음식 경험을 선사한다. 새로운 미식 체험을 하기 원하는 MZ세대 사이에서 몽골리안 샐러드 보올이 인기를 끌고 있다. 마닐라에 위치한 샐러드 레스토랑 배드 보울 언리미트드 몽골리안(Bad Bowl Unlimited Mongolian)은 샐러드 보올을 만드는데 필요한 돼지고기, 다진 소고기, 표고버섯, 양배추 등 재료를 각각 소분에 진공 포장한 상태로 배송해준다. 키토제닉 보올, 해산물 보올, 비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