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거킹의 모회사 '레스토랑 브랜드 인터내셔널'이 에프터 코로나시대를 위한 새로운 매장 컨셉을 공개했다. 기존 매장보다 규모는 60% 줄이고, 드라이브 스루 레인을 3개로 확대했다. 대면 접촉을 최소화 하고자 커브사이드 픽업. 모바일 픽업 등 비대면 서비스도 강화시켰다. 뉴욕주 레스토랑 63% 연내 폐업 가능성 높아 뉴욕주레스토랑 연합(New York State Restaurant Association)의 조사에 의하면 외식업계에 대한 포괄적인 대책이 실행되지 않을 경우 89.7% 레스토랑이 6개월 안에 수익을 창출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 뉴욕주 전체 식당 중 63.6%가 정부의 추가 원조를 받지 못하면 연내 문을 닫을 것이라 답했다. 앞으로 식당들의 폐업이 연이어 발생하고 대량 실직자가 쏟아질 것이라 경고했다. 뉴욕 레스토랑의 93.6%는 올해 4월~7월동안 전년대비 매출이 줄었고, 음식점의 91.8%는 코로나 펜더믹 사태 이후 직원을 해고해야 했다. 매장 내 음식 섭취가 제한적으로 허용되거나 금지되며 외식 경영자 74%는 향후 추가 채용 계획이 없는 상태라 답했다. 버거킹, 코로나시대 맞춤 매장 컨셉 선보여 버거킹을 운영하는 레스토랑 브랜드 인터
상품의 배치, 디스플레이는 소비자 구매심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같은 상품이라도 어떻게 진열하는지에 따라 매출이 달라진다. 일본의 슈퍼마켓 체인 ‘기타노에이스(北野エース)’는 11년 전 레토르트 카레 상품을 마치 서점의 꽂혀있는 책처럼 표현했고, 현재 브랜드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기타노에이스는 백화점 위주로 매장을 전개하는 식료품 슈퍼마켓 브랜드이다. PB 상품만 800종이 넘는 풍부한 상품 구색으로 지방에 가야 구할 수 있는 식자재도 찾아볼 수 있다. 현재 전국에 약 90개 점포를 운영 중이다. 고르는 즐거움이 있는 카레 책장 ‘카레 책장(카레나루혼다나, カレーなる本棚®)’은 기타노에이스가 2009년 도쿄 이케부쿠로에 위치한 도부백화점에 입점하며 다량의 카레 제품을 어떻게 진열하면 효과적일까 고민하다 탄생한 아이디어다. 기타노에이스는 일찌감치 간편식 시장의 성장가능성을 보고 레토르트 제품군을 확대한 상황이었다. 당시 근무하던 담당자가 작은 진열공간에 300종류에 달하는 카레 제품을 소비자들이 고르기 편하게 할 방법을 연구하다 제품을 책처럼 측면으로 꽂아봤다. 기존 진열방식보다 5~7배 많은 제품이 할당된 진열대에 들어갈 수 있었다. 기존에 볼 수 없
바이주(白酒)는 중국의 대표적인 전통 술이다. 하지만 주류시장의 흐름이 고도주에서 저도주로 넘어 가며 도수가 높은 바이주=아재 술이라는 이미지가 붙었다. 중국뿐만 아니라 한국, 일본 등도 젊음 층의 음주문화가 바뀌며 저알코올, 무알코올 주류가 인기를 끌고 있다. 멀어진 20~30대 소비자의 마음을 잡고자 바이주는 전통을 깨고 트렌드에 맞게 변신했다. 전통 문화도 뒤집는 트렌드의 힘 중국의 전통 술 바이주는 높은 도수와 비싼 가격으로 인해 젊은 층의 소비 비율이 매우 낮다. 실제로 중국 부자연구소 ’후룬(胡潤)‘이 발간한 '2019년 중국 주류 소비행위 백서'에 따르면 바이주’의 주요 소비층은 70~80년생 남성으로 나타났다. 중국 주업 협회 자료에 의하면 1975~1980년 중국 바이주 중 저도주 생산량은 1% 미만이었지만 1980~1990년에는 50도 이하 제품이 총 생산량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2000년 이후에는 50도 이하 제품의 비중이 90%를 넘어서며 꾸준히 도수가 낮아진 흐름을 알 수 있다. 주류 트렌드가 바뀌며 바이주를 마시는 방식에도 큰 변화가 생겼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물, 차, 술을 상온 보관해 따뜻하게 마시는 문화가 있다. 하지만 대
중국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1인가구가 늘어나며 등장한 ‘발열식품’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메가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발열식품(自热食品)은 전기나 가스 등의 가열방식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포장된 발열체에 의해 가열되는 식품을 말한다. 2015년 용기가 두 층으로 분리된 발열 샤브샤브 제품이 처음 시장에 등장했으며, 2018년 광군제(알리바바에서 2009년부터 시작한 11월 11일 대규모 쇼핑 행사) 당일 관련 제품 453만개가 팔렸다. 매해 꾸준한 성장을 보이다 2020년 들어서며 코로나19 방역으로 인해 식당 이용에 제한이 생기자 발열식품 판매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이다. 혼밥부터 캠핑까지 어디서나 즐기는 발열식품 코로나19의 영향으로 회식, 식사 모임 등이 급격하게 감소할 수밖에 없었다. 혼밥이 일상화되며 집에서도 별도의 준비 없이 훠궈, 샤브샤브, 바비큐 등 중국 요리를 먹을 수 있는 발열식품의 수요가 늘었다. 발열식품은 용기 안에 있는 발열체에 찬물을 부어주면 물이 끓기 시작한다. 포장된 식재료를 10~20분 가열하면 간편하게 요리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진공 포장돼 유통기한 9개월 정도로 길기 때문에 저장식품 혹은 캠핑식품으로도 유용하다. 20
고품질의 우리 농식품이 해외 영토 확장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최근 말레이시아에서 한국산 과일이 고소득층과 젊은 층을 중심으로 프리미엄 과실로 인식되면서 구입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올해 한국 농수산식품의 말레이시아 수출은 7월 말까지 7768만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약 21% 증가했다. 특히 전년 동기대비 수출이 30% 증가한 ‘과실류’와 34% 증가한 ‘김치’가 수출 상승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 aT, 이세탄백화점 상품설명회 개최, K-Fresh Zone 문열어 이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와 aT는 말레이시아 내 고소득층 공략을 위해 지난 9월 2일 말레이시아 최고중심가 KLCC에 위치한 이세탄(Isetan)에서 유통업체 바이어를 대상으로 K-Food 상품설명회를 개최했다. K-푸드 수입바이어와 공동기획한 이번 설명회에서는 김치, 고추장을 비롯해 프리미엄 과일인 샤인머스캣과 거봉, 고품질 유아식 및 유아용 스낵 등 다양한 한국식품을 KMT, 유로 아틀란틱 등 주요 바이어에게 직접 소개했다. 아울러 aT와 이세탄은 이들 품목을 중심으로 10월 말에 K-푸드 페어를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이는 말레이시아에서 대형유통업체와
대만에서 ‘편의점 중독 증후군’이라는 표현이 등장할 정도로 MZ세대의 편의점 중심 소비 경향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지 식품전문 매체 식력(食力)이 지난 5월 약 1,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의하면 응답자의 45%가 일주일에 5~7일 편의점을 방문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응답자 중 27.8%는 ‘매일 편의점을 방문한다’고 답했다. 편의점 문화를 주도하는건 단연 MZ세대라 일컫는 젊은 층이다. 학창시절부터 빠르고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편의점 공간에 익숙해져있고, 무엇보다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식품을 찾아볼 수 있어 선호한다. 대만 편의점에서도 인기인 K-푸드 케이팝을 필두로 한 한류 콘텐츠는 일시적인 유행이 아닌 이제 진정한 문화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매운맛 챌린지, 달고나 커피 등 한국의 식문화는 MZ세대의 SNS를 타고 전세계로 퍼져 나갔다. 최근 대만의 패밀리마트에선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한국의 맛을 그대로 전하고자 국내 냉동식품을 수입해 들여왔다. 즉석 떡볶이, 전통 잡채, 모짜렐라 치즈 핫도그, 속초 붉은 대게 딱지장 등이 진열돼 있어 마치 한국 편의점을 연상케한다. 해외 여행을 갈 수 없는 상황 때문에 한식 상품에 대한
100% 한국산 배로 만든 ‘BAE JUICE(배주스)’가 호주 젊은층의 숙취 해소 음료로 인기를 끌고 있다. ‘BAE JUICE’는 3년 전 젊은 호주 청년들이 모여 만든 스타트업의 작품이다. 현재는 호주 최대 식품업체 ‘울워스(Woolworths)’에 입점하며 전국 1000여개 마트에 납품할 정도로 규모를 성장시켰다. 호주에서 힙한 한국 나주산 ‘BAE JUICE’ ‘BAE JUICE’ 브랜드의 탄생을 알려면 2018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당시 호주에서 바리스타로 일하던 팀 오‘설리번 대표는 함께 카페를 운영하던 한국인 여자친구를 따라 한국으로 여행을 오게됐다. 한국 여행을 하던 중 오‘설리번 대표는 친구들이 편의점에서 사준 배즙 맛에 반해버렸다. 달콤하며 시원한 배즙이 숙취 효과까지 있다는 사실을 들은 그는 바로 숙취 예방과 관련된 연구 자료를 찾아 보기 시작했다. 실제로 2015년 CSIRO(호주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가 발간한 논문에 따르면 ‘알코올 섭취 시 배주스 220mL를 섭취하면 혈중 알코올 농도 20%를 감소 시킨다’라는 결과가 나와 있다. 배즙 샘플을 몇 개 챙겨 호주로 귀국한 오‘설리번 대표는 카페 손님, 친구, 가족에서 나눠주며 사
마켓리서치 회사 ‘IRI’와 ‘NYU Stern 지속가능경영센터’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지속가능 제품’(Sustainability-marketed products)들이 코로나19 대유행 속에서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지속가능제품’이란 친환경 제품에 사회성을 부여한 것으로 '지속 가능한 발전의 3대 축'(Triple Bottom Line)인 ‘경제적 가치 창조’, ‘환경에 대한 배려’, ‘사회적 책임’이 고려된 제품을 말한다. KATI농식품수출정보는 대유행 기간 중 소비자들이 팬트리에 식품을 저장하기 위하여 식료품을 대량으로 소비하는 중에도 지속가능 식품의 매출액이 크게 상승하였으며, 전체적으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지속가능제품이 CPG(소비재) 시장 성장의 54.7%를 차지했다고 전했다. 또한, 일반적인 마케팅 제품들과 비교할 때 지속가능 제품이 39%의 가격 프리미엄을 기록했다. NYU Stern 지속가능경영센터의 교수 겸 설립 이사인 텐시 윌랜(Tensie Whelan)은 “소비자들은 브랜드에 ‘올바른 일을 하라 (‘do the right thing’)’는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이미 인식하고 있으며, COVID-19, #BlackLi
코로나19로 인해 외출이 힘들어지며 장기간 먹을 수 있는 식품을 찾는 이들이 많아졌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커피숍 방문을 할 수 없게 되며 집에 두고 오랫동안 마실 수 있는 대용량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현재 인도네시아의 코로나 확진자는 15만 명(8월 26일 0시 기준)을 넘어섰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거리두기와 비슷한 PSBB(대규모 사회적 제약) 조치가 지속되는 상황이다. 일하며 옆에 두고 마시는 1리터 커피 인기 커피숍 또한 기존의 매장 방문을 통한 구매방식에서 배달 앱 고젝(Gojek), 그랩 푸드(Grab Food) 등을 이용한 비대면 온라인 플랫폼을 주로 이용한다. 잦은 주문의 번거로움, 배달 수수료로 소비자들이 부담을 느끼자 올해 초부터 인도네시아 커피숍들은 1리터 단위로 포장한 음료 ‘Kopi Literan’를 선보였다. 아메리카노, 녹차, 코코넛 커피 등 다양한 제품으로 라인업을 갖췄다. 인도네시아 현지 커피숍 투주하리 커피(Tujuhari Coffee)는 주 고객층인 20~40대 직장인들이 WFH(Working From Home), 재택근무에 돌입하자 매출 회복을 위해 대용량 제품으로 판매 전략을 수정했다. 매장의 인기 음료
비대면 구매가 일상화되며 중국의 인플루언서 ‘왕홍’(网红)의 영향력이 갈수록 강화되고 있다. 수십만 팔로워를 보유한 자신의 계정을 유통 채널로 활용해 식품 등을 판매한다. 기업에 의뢰를 받아 라이브 방송으로 제품을 홍보하거나 직접 자신의 브랜드를 런칭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상품을 중국에서는 ‘왕홍 상품’이라 부른다. 1시간 만에 억대 매출 올리는 왕홍 마케팅 특히 SNS 문화에 민감한 1020대 사이에서 왕홍의 존재는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생소한 제품이더라도 자신이 평소에 좋아하는 왕홍의 SNS 계정에 게시물이 올라오면 무조건 구매하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라이브 방송에서 제품을 홍보하며 1시간 만에 억대 매출을 올리며 완판 행진을 이어간다. 최근 코로나19 영향으로 온라인 중심 소비가 더욱 활성화되며 식품 기업에서도 인플루언서 왕홍을 내세운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상품에 대한 젊은 층의 니즈가 다양하고 세분화된 만큼 타켓 마케팅을 위해 왕홍의 힘을 빌린다. 왕홍은 정형화된 제품 홍보에서 벗어나 자신의 팔로워들과 소통하듯이 제품을 설명해 구매 욕구를 자극한다. 음식을 실시간으로 먹으며 리뷰를 하거나 여러 제품을 비교하는 형식의 진행이 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