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국가와 비교해 중국은 채식주의자 비중이 적고 식물성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하지만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중국의 식물성 제품 산업은 2019년부터 급성장하고 있다. 중국에서 식물성 제품은 주로 식물성 식품 및 식물성 음료로 구성된다. 신사계(新思界)에서 발표한 연구 보고서를 보면 2019년 이후 중국은 전 세계 식물성 대체육 산업 발전의 영향, 돼지고기 공급 부족으로 인해 지난 2년간 식물성 대체육 산업이 25% 이상 증가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리서치앤마켓(Research and Markets)은 중국의 식물성 대체육 시장이 2021~2026년 연간 13.9%의 복합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유로모니터(Euromonitor)는 2023년 중국 식물성 대체육 시장 규모는 130억 달러로 세계 시장의 절반을 차지할 것이라 예측했다. 식물성 식품이 주목을 받으면서 식물성 식품 전문 브랜드는 초기에 패티, 치킨너겟, 다짐육 정도의 제품군에서 점차 훙사오러우(红烧肉), 샤오쑤러우(小酥肉), 루로우판(卤肉饭), 샤오롱바오(小笼包) 등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였다. 네슬레는중국 소비자들을 겨냥하기 위해 고수분 단백질 압출 기술(HME
중국의 감자칩 시장에서 고단백질 제품이 서서히 성장하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작년 5월 온라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기 시작한 고단백 칩은 전체 칩 매장의 1%에 불과하나 향후 성장 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전망했다. 감자칩 업계 전문가들은 고단백 칩은 새로운 개념으로 현재 중국 시장에서 해당 제품 및 수입 브랜드는 비교적 적지만 브랜드들이 고단백 칩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앞으로 더 확대될 것이라 전했다. 중국 현지 시장정보 조사 기관인 모경(魔镜)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올해 제2분기 티몰(天猫)의 고단백 칩 매출액은 339.89만 위안(약 6억 7천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전통 감자칩의 성장률은 3.2%이나 고단백 칩의 성장률은 992.58%를 기록했다. 간식을 선택할 때 건강을 최우선으로 꼽는 소비자들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MZ세대에서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하게 관찰된다. 간식의 건강화는 향후에도 중요한 트렌드로 지속될 전망으로 단순히 심심할 때 먹는 것이 아니라 보다 많은 기능화 요구를 부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단백 칩은 전통적인 생산 방식을 바탕으로 생산 공정도 개선했다. 일반적인 기름기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의하면 홍콩에서 유기농식품의 인기가 고공행진하고 있다. 홍콩유기농센터(Hong Kong Organic Resource Centre)에서 올해 6월 4일부터 30일까지 성인 811명을 대상으로 약 75군데의 재래시장 및 유통매장에서 유기농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소비습관에 대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작년도에 응답자의 약 75%(4명 중 3명)가 유기농 농식품을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20년보다 약 11.2% 증가한 수치이며 2004년 이 조사를 추진한 이래로 사상 최고치로 유기농식품을 구매했다고 답했다. 작년도 유기농식품 구매금액은 약 77억 홍콩달러였고 원화로 약 1조 3천억원이다. 유기농식품을 선택한 이유로 응답자의 97%가 건강이라 밝혔고, 식품안전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94%를 차지했다. 응답자 중 89.7%는 무농약을 선택 이유로 꼽았다.(복수 응답 가능) 가장 인기가 높은 유기농식품은 신선품목으로 채소와 과일이었고, 각각 88.7%와 65.7%를 차지하였다. 유기농 가공식품의 경우 33.1%, 유기농 육류는 27.6%, 유기농 유제품은 24%가 뒤를 이었다. 유기농 육류와 유기농 유제품 구매율은 전년 대비
현재 중국 맥주 시장은 수제 맥주가 기성 맥주의 점유율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기성 맥주로 기존 유명 기업들도 앞다투어 수제 맥주를 출시하는 추세다. 다수의 맥주 상장사의 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맥주 업계는 작년의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면서 수제 맥주가 새로운 성장 포인트로 떠올랐다. 최근 2년 동안 중국에서는 수제 맥주를 마시는 것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2022 타오바오 티몰 주류업계 트렌드 백서’에 따르면, 수제 맥주의 매출 비중은 매년 증가해 비교적 양호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2019년~2021년 수제 맥주의 소비 규모는 39%, 소비자 수는 50%까지 증가했다. 2021년 수제 맥주의 가격 분포는 화이트 맥주는 3~8위안(한화 약 590~1,570원), IPA는 15위안 이상(한화 약 2,940원)의 가격대에 집중되어 있다. 중국에서 수제 맥주의 인기가 급격히 높아지면서 맥주 헤드쿼터 기업들이 앞다투어 수제 맥주를 선점하고자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중국의 기업 조사 사이트 티엔옌차(天眼查)의 집계를 보면 중국 내 2022년 1월 수제 맥주 관련 기존 업체는 5,000개가 넘고, 2021년 신규 등록된 기업은 1,378곳에 달한다.
호주 통계청(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BS, 2022)에 따르면 2021년 식품 및 음료(주류 제외) 마트 판매량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1,470만 톤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소비 품목으로는 무알코올 음료(24.7%), 유제품 (18.0%), 채소(12.6%), 과일(9.3%), 육류(9.0%), 곡물 제품(8.2%)으로 조사되었으며 1일 1인당 식품 소비량은 1,193g으로 작년보다 3.2g 감소하였으나 음료 소비량은 373g으로 작년 대비 6.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알코올 음료는 6.2% 성장률을 보였으며 유제품 및 육류 대체품은 13.8% 성장했다. 기능성 음료, 대체 우유 소비량 증가 IBIS world에 따르면, 호주에서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비건 인구의 증가와 과일 및 채소 소비 증가, 무알코올 맥주 등에 대한 관심도 증가로 이어질 것 으로 예상했다. 유로모니터는 “2015~2020년 호주의 비건 시장은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호주는 ‘veganism’, ‘vegan restaurants’, ‘vegan rezepte’ 등의 키워드를 세계에서 두
제25회 스윗 앤 스낵 엑스포(Sweets & Snacks Expo)가 지난 5월 시카고 맥코믹 플레이스(McCrmick Place)에서 열렸다. 코로나19 이후 시카고에서 동 박람회가 다시 열린 것은 2019년 이후 처음으로, 전 세계 약 700개 업체와 1만 6,000여 명의 참관객이 찾았다. aT 뉴욕지사가 올해 ‘스윗 앤 스낵 엑스포’에서 주목받은 5개 브랜드의 소식을 전했다. 대체 식품 시장에 등장한 토마토 육포, 무니 팜스(Moony Farms) 시카고 스윗 앤 스낵 박람회를 주도한 키워드 역시 ‘식물 기반(Plant-based)’이다. 수많은 브랜드와 제품이 ‘식물 기반’과 ‘클린라벨(Clean Label)’을 내세우며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특히 무니 팜스의 토마토 육포(Jerkey)라는 식물 기반 육포가 새롭게 등장했다. 무니 팜스는 썬드라이드(Sun-Dried) 토마토 가공 경험을 바탕으로 스리라차와 테리야키&후추 두 가지 맛을 선보였으며, Non-GMO와 1회 섭취량 당 6그램의 단백질과 섬유질을 함유한 제품이다. 환경 보호를 화두로 던지다. 캔디 다이내믹스(Candy Dynamics) ‘시큼한 스모그(Sour Smog
2021년 말레이시아 내 편의점 총 매출액은 약 3조 원에 육박하며 엔데믹 이후에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aT 쿠알라룸푸르지사에 의하면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매출액 상승률은 14.2%, 점포 수 증가율은 9.9%로 2016년 대비 2021년 편의점시장 규모는 약 100% 증가했다. 2021년 매출액 기준 말레이시아 편의점 점유율은 99 스피드마트(99 Speedmart)가 54.5%, 세븐 일레븐이 27.1%, KK 슈퍼마트(KK Supermart)이 5.4%, 마이뉴스닷컴(myNEWS.com)이 4.8%이다. 2021년 CU, 이마트24는 현지 업체와 마스터 프랜차이즈 계약으로 말레이시아 편의점 시장에 진출했다. 마이뉴스닷컴은 2021년 4월 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CU 1호점 개점을 시작으로 2022년 7월 기준 100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현재 운영 중인 매장 465개를 오는 2026년까지 CU 매장으로 전환하여 말레이시아 전역에 총 500개 매장 개점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 U.F.H(United Frontiers Holdings)는 20개 이마트24매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6년까지 300개 매장 개점을 목표로 사
홍콩에서 신선 식료품을 빠르게 집앞까지 배송해주는 온라인 플랫폼의 수가 늘어나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편리와 건강 트렌드에 맞게 웰컴(Welcome), 파크 앤 샵(Park n Shop), 판다마트(Panda Mart), 딜리버루(Deliveroo) 등 대형 플랫폼외에도 다양한 업체들이 있다. 더 그로서리 클럽(The Grocery Club)은 홍콩의 유명 파인다이닝 레스토랑을 포함 200여 개의 식당에 채소, 고기, 해산물 등을 공급하고 있는 브라보 파인 푸드(Bravo Fine Foods)의 신선 식료품을 취급한다. 요리 전문가들에게 인정받고 유명 셰프들의 신뢰를 받고 있는 식품 전문 브랜드로서 주로 유럽에서 수입하며 홍콩으로 도착한 재료는 창고에서 다시 한번 품질 검사를 거쳐 판매한다. 친환경 포장과 유기농 농산물로 유명한 왓츠인(What’s In)은 화학물질 사용을 최소한으로 하는 전용 농장에서 재배한 농산물을 판매하며, 쓰레기를 최소화하는 친환경 포장을 사용하여 소비자 판매 가격을 30-40%까지 줄였다. 유명 레스토랑들과 협력을 하고 있어 판매되는 식자재의 품질 또한 5성급 수준이다. 잇 후레쉬(Eat Fresh)에서는 홍콩 유기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UAE의 대표 기업인 에미레이트 항공은 실내 수직 농업 분야의 업계 리더인 Crop one과 4천만 달러(한화 약 522억)의 투자를 통해 두바이에 세계 최대 수직농장을 열었다. 알 막툼 국제공항 인근에 위치한 수직농장은 330,000sqft(스퀘어피트)의 크기를 자랑한다. 연간 천 톤 이상의 잎채소를 생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기존 농업보다 95%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부스타니카(Bustanica)라고 이름 지어진 이 수직 농장에서는 언제든지 백만 개 이상의 품종이 재배 가능하고 하루에 3,000kg 이상의 생산이 가능하다. 농장에서 가동되는 폐쇄 루프 시스템은 물 사용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식물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기화하면 해당 시스템을 통해 회수되어 재활용할 수 있게 설계됐다. 이는 동일 생산량 대비 야외 일반 농업과 비교했을 때 약 2억 5천만 리터의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부스타니카의 관계자는 “수직농장에서 자란 작물은 UAE의 45도를 넘나드는 기상 조건에서 자유로우며 해충의 위협에서 안전하기 때문에 마트에서 바로 먹을 수 있을 만큼 신선함을 자랑한다. 우리는 잎채소뿐만 아니라 과일
중국에서 인스턴트 라면은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이미지와 배달음식 시장의 성장으로 판매량이 감소해왔다. 이에 라면 업계는 소비트렌드에 맞춰 지방 함량, 칼로리는 낮추며 고급화 전략을 취하며 다시금 성장세로 돌아서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코로나 기간 홈코노미(집에서 이루어지는 소비), 레이지 이코노미(돈으로 간편함과 시간을 사는 소비)가 유행함에 따라 간편하게 한 끼 식사를 해결하는 인스턴트 라면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라면 시장의 고급화 경쟁도 더욱 치열해졌다. 중국의 4대 라면 브랜드 캉스푸(康师傅), 통이(统一), 바이샹(白象)과 진마이랑(今麦郎)이 프리미엄 라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경쟁 중이다. 보통 중국에서 판매하는 라면의 가격은 2~3위안(한화 약 380~580원)이나 프리미엄 라면의 경우 10~30위안(한화 약 1,900~5,800원)으로 5~10배 차이가 난다. 캉스푸에서는 15위안(한화 약 2,900원)이상인 익스프레스 수다몐관(EXPRESS速达面馆) 시리즈를. 통이는 10위안(한화 약 1,900원)의 지웨이관(极味馆) 시리즈를 출시했다. 바이샹도 15위안(한화 약 2,900원)인 셴몐좐(鲜面传)과의 콜라보 상품 등 다양한 제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