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으로 막혔던 일본으로 가는 하늘길이 지난해 9월 무비자 개인 여행까지 전면 개방되고 엔저 효과까지 가세하면서 일본을 찾는 한국인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 12월 방일 외국인 여행객 3명 중 1명이 한국인이었을 정도다. 가까운 나라 일본이그 어느 때보다 궁금한 요즘, 미식 칼럼니스트 시푸미 에토가 올해 주목할 일본 미식 트렌드를 전한다. 2023년 일본 미식 시장에 대한 트렌드 전망을 준비하면서 6가지 키워드를 마주했다. 그 속에서 확신할 수 있었던 것은, 전통이나 지방의 매력에 가치를 부여하고 문화로서 계승하는 것의 중요성, 그리고 요리사 본연의 자세인 ‘사람을 대접하는 따뜻한 마음’과 ‘요리로 사람을 건강하게 하는 마음’의 진정성, 끝으로 레스토랑은 사람과 문화가 교류하는 따뜻한 장소라는 점이다. 팬데믹 기간을 지나 엔데믹을 맞은 2023년은 트렌드에 좌우되지 않는 레스토랑이나 요리의 본질을 다시 한번 검토하는 한 해가 될 것이다. 세계의 스타 셰프 일본 상륙 2021년에는 홍콩의 <벨롱 BELON >을 아시아 톱 레스토랑으로 이끈 셰프 대니얼 캘버트가 포시즌스 호텔 도쿄 앳 마루노우치로 이적, 호텔의 메인 레스토랑인 <세잔 SE
중국의 야채주스 시장이 점점 규모를 키우고 있다. 음식 섭취 시 느껴지는 느끼함을 잡아주거나 지방 분해 촉진 등 건강에 도움 되는 야채주스는 건강음료 분야에서 비교적 블루오션이다. 모경 시장정보 조사기관이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타오바오 티몰 플랫폼 내 야채주스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200% 이상 증가하는 등 뛰어난 성장 잠재력을 보였다. 특히 케일주스의 경우 12월에 전년 동기대비 무려 274.93% 증가했다. 전 세계 야채주스 시장도 주목할만한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리서치 앤 마켓 보고서에 의하면 글로벌 야채주스 시장 규모는 2020년 347억 달러이며 2026년엔 472억 달러에 이르는 등 연평균 성장률이 5.2%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중국 야채주스 시장은 8.5%의 연평균 성장률로 2020년의 51.3억 달러에서 98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야채는 과일과 비교하면 생식에 불리함이 있는 등 간편한 섭취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당분이 없고 식이섬유가 풍부한 건강상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야채주스는 이러한 단점은 개선하고 장점은 유지하여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 정부 문서인 <중국인 식생활 지침>에
중국에서 식문화의 고급화가 이뤄지며 어린이용 조미료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최근 몇년간 중국 식품기업의 어린이용 조미료 출시가 이어지며,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돼 왔다. 전자상거래 플랫폼 징둥에서 ‘아빠의 농장’의 쓰궈 유기농 어린이간장, ‘추톈만만’의 유기농 간장 비빔밥 양념, ‘와소아’의 과일 채소 카레 큐브가 “영유아 베스트 조미료” 1~3위를 차지했다. 가격은 각각 152ml에 34.96위안(한화 약 6,553원), 150ml에(한화 약 5,378원)이다. 이는 일반 조미료와 비교했을 때 더 비싼 편으로, 현재 많은 중국 식품 브랜드들이 어린이용 조미료 산업에 뛰어드는 이유이기도 하다. 아직까지 중국의 어린이용 조미료 시장은 아직 발전 초기 단계에 있다. 어린이용 조미료의 주된 구매자는 대부분 아이를 가진 부모이기 때문에 어린이 제품에 대한 품질 요구가 매우 엄격하다. 또한, 제품을 고를 때, 식품안전을 고려하여 대형 브랜드의 제품을 고르는 경향이 있으며 성분 목록이 간단할수록 더 선호한다. 어린이용 조미료 시장에서 가장 주목되고 있는 것은 ‘나트륨 감소’이다. 하지만, 대부분 어린이용 간장은 일반 간장에 비
건강 음료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며 중국에서는 식초 음료 시장이 규모를 키우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2021년 이후 중국의 식초 음료 산업은 음료의 맛, 문화적 속성, 건강 등 제품 혁신을 포인트로 삼아 지속적인 상승 곡선을 타는 중이다. 그 예로 시중에 다양한 기능성을 추가한 식초 상품이 시중에 등장했다. 중국의 음료 제조업체인 티엔디이하오는 산사 식초 음료인 쟈샤오를 새롭게 출시했다. 방부제 없이 산사나무 원료를 첨가하여 과일 향이 진하고 새콤달콤한 맛을 낸다. 또한, 중국의 식초 제조업체인 헝순은 저당, 저칼로리, 무첨가의 새콤달콤한 과일 맛 식초 탄산수를 출시하여 소비자의 건강을 고려한 맛있는 식초 음료를 선보였다. 향신료 제조업체 신허의 산하 브랜드 씨관추는 재작년 사과 맛과 패션후루츠 맛의 식초 음료를 출시했다. 직장인들이 사무실에서 손쉽게 먹을 수 있도록 15ml로 소포장돼 휴대하기에 용이하다. 차음료 업계에서도 식초음료가 새롭게 출시되고 있다. 2022년 6월 러러차가 쩐장시 매장을 한정으로 헝순의 식초를 첨가한 사과 라임 식초음료를 출시하였으며, 이 밖에도 많은 음료 브랜드에서 망고 백향과 식초 탄산수 등 다양한 맛의 식초 음
2023년 중국의 식품 트렌드 핵심 키워드는 건강·유제품·기능성 3가지로 요약된다. Kati 농식품 수출정보에 따르면 위 3가지 키워드를 앞세운 신제품들이 꾸준히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건강 중심 식품 소비 소비자들의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식품 업체들의 무첨가, 청정 레시피, 천연 원료 등을 사용하는 추세가 늘어났다. 따라서 저당 식품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중국의 대표적인 간편식 닭가슴살 제조회사인 샤크핏은 요리, 베이킹에 사용할 수 있는 0칼로리 설탕을 출시했으며, 중국 기능성 식품 브랜드 미나요(Minayo)는 제로 설탕 저지방 젤리를 선보였다. 또한, 오트밀 우유, 코코넛 밀크와 같은 식물성 단백질 음료도 떠오르고 있는 추세이다. 식물성 단백질 음료는 풍부한 식이섬유, 저지방 등의 특성을 갖고 있어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은 중국 소비자들의 눈길을 사로잡고 있다. 현재, 식물성 단백질 음료는 기존의 귀리 우유, 두유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식물성 재료를 첨가하며 새롭게 응용되고 있다. 유제품의 다양화 최근 몇 년간 막대 치즈, 어린이 치즈 등의 제품이 발전하면서 소비자들의 치즈 소비가 급증하였다. 따라서 많은 치즈 브랜드들이 차
CES 2023의 친환경 푸드테크 미국, 라스베가스 팬데믹 이후 역대 최대 규모의 국제전자제품박람회 CES 2023이 1월 5일부터 8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가운데, 특히 친환경 푸드테크 분야가 주목을 받았다. 음식물 쓰레기 분석 카메라를 공개한 네덜란드 회사 오르비스크ORBISK는 어떤 메뉴가 몇 시에 얼마나 버려지는지 분석한 데이터를 제공해 업장에서 꼭 필요한 재료만을 구입할 수 있게 유도한다. 3D 프린터로 식물성 버거를 만드는 로봇도 등장했다. 이스라엘 기반의 사보이트SAVOREAT가 개발한 이 로봇은 패티의 크기와 단백질 및 지방의 비율, 굽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화시켜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브랜드 린클, 사용 패턴을 기반으로 컴프레서를 조절하는 AI 비스포크 냉장고를 공개한 삼성 등 국내 푸드테크 기업도 눈에 띄었다. 2022년 구글 최다 검색 레시피는? WORLD 전 세계 글로벌 웹사이트 구글이 2022년 가장 많이 검색된 레시피 순위를 발표했다. 그중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레시피는 인도 요리인 ‘파니르 파산다PANEER PASANDA’다. 과거 무굴 제국 왕실에서 즐겨
중국에서 밀키트의 성장 속도가 무섭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밀키트 제품은 간단한 조리과정으로 먹을 수 있어 현재 많은 중국인들의 사랑 받고 있다. 중국의 최대 명절인 춘절(春节)에도 밀키트가 식탁에 오르기 시작했다. 밀키트 소비량 급증 대부분의 가정에서 춘절(春节)에 주방에서 직접 요리를 하지만, 최근에는 밀키트 요리를 선택하는 소비자도 적지 않다. 밀키트 제품을 구매하려는 소비자도 지난 몇 년에 비해 눈에 띄게 증가했다. 허마(盒马)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응답자의 54%가 밀키트 음식을 구매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자신이 조리한 요리+밀키트 구입의 응답자의 비율은 32%로 밀키트 음식의 선호는 나날이 급증하고 있다. 오늘날, 마트와 전자 상거래 플랫폼에서 밀키트 제품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2022년에는 한 전자상거래 플랫폼 마켓에서의 밀키트 판매 증가율은 160%에 달했다. 중국 시장조사기관 아이메이(艾媒) 리서치에 따르면 2023년 춘절(春节) 시즌 중국 전체 밀키트 판매액은 약 1307.53억 위안(한화 약 23조 8,035억 원)으로 전년 대비 43.6% 증가했다. 시장 유입 가속화 춘절 기간 동안 밀키트 제품의 인기 현상에 대해, 톈
중국에서는 뱅쇼에 이어 올겨울 따뜻한 맥주가 출시돼 주목받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의하면 2021년 겨울 노점에서 직접 끓이는 뱅쇼를 시작으로 대중화돼 크리스마스 마케팅에 가장 성공한 상품이 됐다. 2022년 겨울에도 뱅쇼의 인기는 여전하다. 모경시장정보에 따르면 2021년 8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뱅쇼에 관련된 글은 87,100개, 2022년 8월부터 2022년 12월까지(12월 21일까지) 104,700개를 기록했다. 뱅쇼는 겨울 시즌 상품으로 많은 외식업 브랜드에서도 뱅쇼 메뉴를 출시하며 재미 요소를 더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하이디라오 훠궈는 젊은 소비자를 겨냥해 주문 시 테이블에서 뱅쇼를 즉석으로 만들어 준다. 이같은 뱅쇼 인기에 힘입어 따뜻한 맥주도 속속들이 출시되고 있다. 처음으로 따뜻한 맥주는 쓰촨, 충칭 지역의 현지 겨울 음료였는데 달달한 주조, 대추, 구기자를 첨가해 맥주 향과 보양 재료의 조화로 독특한 맛이 난다. 뱅쇼와 마찬가지로 따뜻한 맥주도 길거리 노점에서 처음 판매를 시작해 이번 겨울철 월드컵 특수로 시장에 안착했다. 모경시장정보 발표에 따르면 2021년 8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따뜻한 맥주에 관련된 글은 8,3
일본의 외식기업 콜로와이드그룹이 소유한 패스트푸드브랜드 ㈜프레시니스가 지속가능한 사회를 목표로 한 신제품 ‘해피스버거’를 출시했다. 버려질 위기에 놓인 지역농가의 사과와 100% 식물성유래 콩패티로 만든 햄버거로 환경보전을 최우선 가치로 뒀다. 이번 해피스버거는 토이타여자전문대학(戸板女子短期大学) 식품영양과 학생과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기획됐으며, 1월 18일(수)~2월 14일(화) 기간 동안 도내 3개 점포에서 한정 판매한다. 소매점과 협업해 맛에 문제가 없음에도 일정 기간이 지나 진열대에서 밀리며 폐기만을 기다리는 사과를 납품받은 후 점포에서 가공·조리한다. 이 과정을 업사이클 대신 애플사이클이라 새롭게 이름 지었다. 단맛을 끌어올리고자 슬라이스한 사과를 버터에 함께 가열 공정을 거쳐 설탕에 절인다. 식물성유래 콩패티와 함께 달걀의 감칠맛과 허브향이 있는 드레싱과 땅콩을 더했다. 가격은 540엔(한화 약 5,100원)이다. 환경친화적인 햄버거이면서도 식사 만족도를 높이기위해 포만감있는 파워샐러드풍으로 마무리했다. 파워샐러드란 채소, 견과류, 치즈 등을 섞은 고영양 샐러드로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3가지를 균형있게 섭취할 수 있다. 제품 기획에 참여한 학생
일본 문화를 체험할 새로운 관광 스폿으로 2022년 7월 오픈한 ‘맛과 축제의 전당 아사쿠사요코초(食と祭の殿堂 浅草横町)’가 화제다. 아사쿠사요초코는 영화관 등이 모여 있는 문화의 중심 ‘아사쿠사6구’ 지역에 있다. 일본의 축제와 음식을 융합한 지금까지 어디에도 없었던 복합 시설로, 도쿄 중심에서 일본 대중문화를 체험하는 새로운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한 잔 즐기면서 퍼포먼스에 참여하기도 일본 번화가 아사쿠사에서 즐기는 각지의 축제와 음식 아사쿠사요코초는 13층 높이의 복합 상업 시설 ‘도쿄 라쿠텐치 아사쿠사 빌딩’ 4층에 있다. 내부는 컬러풀한 장식과 간판 등으로 꾸며져 축제, 명절의 분위기를 자아낸다. 주말에는 시설 내의 음식점 안까지 공연하는 사람들이 찾아와 분위기를 한껏 끌어올리기도 하며 아와오도리, 요사코이(이상 시코쿠), 에이사(오키나와), 봉오도리 등 각 지역을 대표하는 춤 퍼포먼스를 즐길 수 있다. 보는 것뿐만 아니라, 직접 공연에 참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설에는 기모노 렌털숍이 있어 직접 기모노를 입고 아사쿠사 거리를 거닐 수도 있다. 축제 ‘야타이(포장마차)’와 같은 활기찬 분위기의 음식점에서 텐션 업 아사쿠사요코초 내 음식점들도 축제의